추진목적
산업부문의 대규모 조사를 통하여 실제 수요측면에서의 사업장별, 연소설비별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으로 접근
제도 추진 경위
-
기후변화협약에 따라 Post-2020 체제하 측정보고검증 가능한 감축목표 설정 등 국내 의무부담 가중
- 정확한 감축잠재량 파악 및 협상지원 체계 구축을 위하여 국제 수준의 세분화된 수요부문 온실가스 통계 조사 및 관리가 필요
-
이에 KEA는 ’05년 제조업, 광업부문(5인 이상 사업장) 조사를 시작으로 국가 온실가스배출량종합정보DB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오고 있음
- 3년 주기의 부문별(산업, 가정·상업, 수송 등) 통계 조사를 추진하였으나, 부문별 관장기관 원칙에 따라, ’11년부터 매년 산업부문 통계자료의 지속적 조사 및 분석을 추진
사업의 내용
사업의 정의
부문별 사업장에 대한 에너지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 조사를 통해 에너지 절감요인 및 감축잠재량 파악을 위한 국가 온실가스 통계DB구축
사업의 대상
-
통계청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에 따른 대상 선정
-
- `15년 기준 광업·제조업 약 10만 사업장 대상( 종사자수 10인 이상 전수조사 포함)
-
법적근거
에너지법 제19조 제5항 및 제6항 (에너지 관련 통계의 관리·공표) 및 통계청 승인통계 제33703호